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등산은 짐을 들지 않고 평지를 걷는 것과 달리 짐을 짊어지고 비탈길을 걷지 않으면 안됩니다. 따라서 「천천히」걷지 않으면 지쳐 버립니다.

    등산을 하기 위해서는 「평지를 걸을 때의 반 이하의 스피드로 걷는다」라고 하는 것이 하나의 기준이 됩니다.

  • 베테랑이 등산하고 있을 때의 심박수를 재어 보면, 여름 또는 겨울 등산을 불문하고 또 짐의 무게나 등산로의 경사에 관계없이 150~160박을 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래 표는 등산시에 있어서의 연령별의 목표 심박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체력이 있 젊은 사람은 150~160박 이하의 심박수로 등산하도록 합시다. 그리고 중고령자의 경우는 심장의 능력이 저하되고 있으므로 좀 더 낮은 심박수로 걷도록(듯이) 유의합시다.

    심박수는 손목에 가볍게 손가락을 대어 잽니다. 좌흉(심장 위)이나 목(경동맥 위)에 손이나 손가락을 대어 재어도 괜찮을 것입니다.

    또한 심박수는 휴식을 취하자마자 저하해 버리므로 휴식한 잠시후로부터 재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쉬자 마자 재든지 걷고 있는 도중에 멈추어 재든지 항상 자신의 심박수를 파악하면서 마이 페이스를 지킵시다.

연령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목표 심박수
(분단위)

140~150

135~145

125~135

120~130

110~120

105~115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아무 생각없이 계단을 오르고 있을 때는 가장 경사가 힘든 등산로를 오르는 통상 등산 속도의 2배 이상의 스피드로 오르고 있는 것이 됩니다.

    이것을 간단히 할 수 있는 것은 계단의 등고차가 불과 5~6m 밖에 안되기 때문입니다. 등고차가 몇 백 m나 되는 실제 산에서는 이러한 페이스가 통용되지 않습니다.

    초보자가 산에서 지치기 쉬운 것은 일상생활에서의 계단 오르막의 페이스가 머리에 새겨져 있어서 산에서도 같은 페이스로 올라 버리기 때문입니다.

  • 오르막에서는 빠르게 걸으려고 하면 심박수는 급격하게 상승합니다.

    이에 비해 내리막길에서는 달렸다고 해도 별로 심박수는 오르지 않고 괴로움도 심하지 않습니다.

    즉 내리막이 편하다고 믿어 버리기 쉬운 것은 심장이나 폐가 괴롭지 않기 때문입니다.

  • 오르막에서는 심폐계에 큰 부담이 가지만 근육에의 부담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내리막에서는 반대로 심폐계에의 부담은 작지만 근육에의 부담은 매우 크다고 합니다.

  • 근육 세포가 손상되고 있다는 것은 운동 중 보다는 운동 후 잠시 후로부터 어떤 증상이 나타나야 처음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란 「근육통」입니다. 근육통이란 근육이 망가졌을 때에 일어나는 염증의 아픔입니다.

    평상시 산에 자주 가는 사람이나 충분한 트레이닝을 쌓고 있는 사람이라면 등산을 해도 근육통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에 비해 평상시 별로 운동하지 않는 사람이 등산을 하면 며칠간은 근육통에 시달리게 됩니다.

    근육이 약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많은 근육 세포가 망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근육통이 나오는 등산은 결코 건강한 운동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 등산에서 가장 중요한 움직임을 하는 것은 넓적다리의 전면에 있는 근육(대퇴사두근)입니다.

    이 근육은 오를 때는 길이가 줄어들면서 힘을 발휘하고, 내려갈 때는 길게 늘어지면서 힘을 발휘합니다.

    운동 생리학의 용어로 전자를 「단축성 수축」후자를 「신축성 수축」이라고 하며, 근력이 부족한 사람이 신축성 수축을 많이 필요로 하는 운동을 실시하면 근육 세포가 망가져 버립니다.

    단축성 수축의 경우는 근력의 저하율도 낮고 원상회복도 빠르지만, 신축성 수축의 경우는 근력이 크게 저하해 버려 며칠이 지나도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즉, 산을 오르고 있을 때는 단축성 수축을 하고 있으므로 근력은 그만큼 저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리막에서는 신축성 수축이 반복되기 때문에 각력이 약한 사람은 각력이 급격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각력이 저하하면 체중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자칫하면 앞으로 굴러 넘어지기 쉽게 됩니다.

  • 다리가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력을 조사한 데이터에 의하면 평지의 보행에서는 체중과 거의 같은 정도의 힘이 완만하게 걸릴 뿐이지만 조깅에서는 체중의 2배정도의 힘이 착지한 순간에 단번에 걸려 있습니다.

    또 계단을 오르는 경우에는 체중과 거의 같은 정도의 힘이 완만하게 걸릴 뿐이지만 내리막에서는 오르막의 2배(즉 체중의 2배)의 힘이 착지한 순간에 단번에 걸려 있습니다. 등산용 배낭을 매고 있으면 당연히 더 큰 충격력이 걸리게 됩니다.

    이러한 강한 충격력은 근육의 피로를 빠르게 하여 전도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장바구니 0

맨위로